포스팅 목차
|
보건통계학, 임상통계학, 의학통계학, 생물통계학 이들의 관계는? (연세대 강승호 교수)
* 출처 : http://blog.naver.com/exactmehta/80044963472
보건통계학, 임상통계학, 의학통계학, 생물통계학 이들의 관계는?
"생물통계학은 biostatistics를 번역할 때, bio를 생물이라고 번역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혼동의 여지가 있다. 생물통계학은 마치 생물학에만 쓰이는 통계학이라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는 생물통계학은 biostatistics이 의미하는 것처럼, 보건학, 임상시험, 의학, 약학, 간호학, 독성학, 농학, 생물학까지 포함하는 훨씬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물론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야를 여기에 포함시키기도 하고, 제외시키기도 한다. 또한 생물통계학을 협의의 의미로 사용하여서, 보건학, 임상시험, 의학, 약학, 간호학, 독성학, 농학 중의 한 분야만 지칭하게 사용하는 사람도 물론 있을 수 있다."
|
반응형
'데이터과학자 진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직업 `임상통계전문가`를 노려라 (0) | 2018.11.11 |
---|---|
통계학과 학생이 미국 유학을 가는 것에 대하여(연세대 강승호 교수) (0) | 2018.11.11 |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통계학의 역할 (연세대 강승호 교수) (0) | 2018.11.11 |
통계학 학생이 생물통계학을 전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연세대 강승호 교수) (0) | 2018.11.08 |
미국에서 통계학과 SAS 전문가에대한 추가 정보(SASMaster,2010.04.09) (0) | 2018.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