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AS/SAS 함수483

【SAS 함수】 314. POINT o POINT NOTE함수에 의해 확인된 위치에 관측치를 이동시키고, 값을 반환한다. Category: 외부 파일 접근 및 처리 함수 (External Files) 문 법 Arguments data-set-id 는 OPEN함수에 의해 반환되는 인식자.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CEXIST SAS 카탈로그나 SAS 카탈로그 엔트리의 존재성을 확인후에 반환한다. DCLOSE DOPEN 함수에 의해 열었던 디렉토리를 닫는다. DNUM 디렉토리에서 멤버의 수를 반환한다. DOPEN 디렉토리 OPEN하여서 0보다 큰 directory identifier value을 반환한다. DREAD 디렉토리 구성원의 이름을 반환한다. DROPNOTE SAS 데이터세트나 외부파일에서 노트 마크(observation ID)를 .. 2021. 10. 7.
[SAS 함수] 313. PERM o PERM n 개의 원소에서 한 번에 r 개의 원소를 추출하는 순열의 개수를 계산한다. 순열은 서로 다른 n개의 원소 중에서 r개의 원소를 선택하여 순서를 고려하여 일렬로 나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Category: 수학함수 문 법 PERM (n) Arguments n 은 표본이 선택되는 총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지정한다. r 는 선택하는 요소의 개수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정수를 지정한다. r 이 생략된 경우 이 함수는 n의 계승(factorial)을 반환한다. 상세 내용 COMB 함수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n ≥ 0, r ≥ 0, n ≥ r 이다. 수식으로 계산할 수 없는 경우 결측치 값이 반환된다. 어느 정도 큰 값이 되면 PERM 함수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가 .. 2021. 10. 7.
【SAS 함수】 312. PEEKLONG o PEEKLONG 32비트와 64비트 platforms에서 숫자 변수에 대한 메모리의 데이터를 Access한다. Category: Special 문 법 PEEKLONG (address) Arguments address 는 포인터 주소가 가르치는 문자열을 지정.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ADDR 32비트 프랫폼에서 메모리 주소를 숫자 변수로써 반환한다. ADDRLONG 32비트와 64비트 프랫폼에서 해당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문자변수로 반환한다. CALL POKE 32비트 플랫폼에서 값을 메모리에 직접 작성한다. CALL POKELONG 32bit와 64bit 플래폼 메모리에 직접 값을 작성한다. PEEK 32비트 platform에서 숫자변수의 메모리 주소의 항목(내용)을 저장한다. PEEKC 메모리에.. 2021. 10. 7.
【SAS 함수】 311. PEEKCLONG o PEEKCLONG 32비트와 64비트 platforms에서 문자 변수에 대한 메모리의 데이터를 Access한다. Category: Special 문 법 PEEKCLONG (address) Arguments address 는 포인터 주소가 가르치는 문자열을 지정.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ADDR 32비트 프랫폼에서 메모리 주소를 숫자 변수로써 반환한다. ADDRLONG 32비트와 64비트 프랫폼에서 해당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문자변수로 반환한다. CALL POKE 32비트 플랫폼에서 값을 메모리에 직접 작성한다. CALL POKELONG 32bit와 64bit 플래폼 메모리에 직접 값을 작성한다. PEEK 32비트 platform에서 숫자변수의 메모리 주소의 항목(내용)을 저장한다. PEEKC 메모.. 2021. 10. 7.
【SAS 함수】 310. PEEKC o PEEKC 메모리에서 문자변수에 대한 지정한 위치(주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Access한다. Category: Special 문 법 PEEK (address) Arguments address 는 메모리 주소를 지정.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ADDR 32비트 프랫폼에서 메모리 주소를 숫자 변수로써 반환한다. ADDRLONG 32비트와 64비트 프랫폼에서 해당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문자변수로 반환한다. CALL POKE 32비트 플랫폼에서 값을 메모리에 직접 작성한다. CALL POKELONG 32bit와 64bit 플래폼 메모리에 직접 값을 작성한다. PEEK 32비트 platform에서 숫자변수의 메모리 주소의 항목(내용)을 저장한다. PEEKC 메모리에서 문자변수에 대한 지정한 위치(주소)에 저.. 2021. 10. 7.
【SAS 함수】 309. PEEK o PEEK 32비트 platform에서 숫자변수의 메모리 주소의 항목(내용)을 저장한다. Category: Special 문 법 PEEK (address) Arguments address 는 메모리 주소를 지정.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ADDR 32비트 프랫폼에서 메모리 주소를 숫자 변수로써 반환한다. ADDRLONG 32비트와 64비트 프랫폼에서 해당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문자변수로 반환한다. CALL POKE 32비트 플랫폼에서 값을 메모리에 직접 작성한다. CALL POKELONG 32bit와 64bit 플래폼 메모리에 직접 값을 작성한다. PEEK 32비트 platform에서 숫자변수의 메모리 주소의 항목(내용)을 저장한다. PEEKC 메모리에서 문자변수에 대한 지정한 위치(주소)에 저장된 .. 2021. 10. 7.
【SAS 함수】 308. PDF o PDF 확률밀도함수를 계산한다. Category: 확률함수 문 법 PDF ('dist',quantile,parm-1, ...,parm-k) Arguments dist 는 분포를 지정하는 문자 상수, 변수 또는 수식 형태의 값을 지정한다. 인수로 지정 가능한 분포는 다음과 같다. 분포 인수 Bernoulli Bernoulli Beta BETA Binomial BINOMIAL Cauchy CAUCHY Chi-Square CHISQUARE Conway-Maxwell-Poisson CONMAXPOI Exponential EXPONENTIAL F F Gamma GAMMA Generalized Poisson GENPOISSON Geometric GEOMETRIC Hypergeometric HYPERGEOMETR.. 2021. 10. 7.
【SAS 함수】 307. PCTL o PCTL 백분위수 계산한다. Category: 확률함수 문 법 PCTL (percentage, value1) Arguments n 1~5까지의 숫자 입력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LARGEST non-missing값 중에서 k번째 큰 값을 반환한다. MAX 인수들중에서 가장 큰 값(최대값)을 반환한다. MIN 인수 중에 Non-Missing 값들 중에 최소값을 계산한다. ORDINAL 숫자 리스트에서 지정한 순서의 값을 반환한다. PCTL 백분위수 계산한다. SMALLEST k번째 가장 작은 nonmissing값을 반환한다. 예 제 SAS Statements data _null_; lower_quartile=PCTL(25,2,4,1,3); put lower_quartile; run; Results .. 2021. 10. 7.
[SAS 함수] 306. PATHNAME 306. PATHNAME SAS 데이터 라이브러리나 외부 파일의 물리적 이름을 반환한다. Category: 외부 파일 (External Files) 문 법 PATHNAME ((fileref | libref) ) Arguments fileref|libref 는 파일참조자, 라이브러리 참조자 지정. search-ref F : 파일참조자를 검색 L : 라이브러리 참조자를 검색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CEXIST SAS 카탈로그나 SAS 카탈로그 엔트리의 존재성을 확인후에 반환한다. DCLOSE DOPEN 함수에 의해 열었던 디렉토리를 닫는다. DNUM 디렉토리에서 멤버의 수를 반환한다. DOPEN 디렉토리 OPEN하여서 0보다 큰 directory identifier value을 반환한다. DREAD 디렉.. 2021. 10. 7.
【SAS 함수】 305. ORDINAL o ORDINAL 숫자 리스트에서 지정한 순서의 값을 반환한다. Category: 기술 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문 법 ORDINAL (count,argument,argument,...) Arguments count 는 정수.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LARGEST non-missing값 중에서 k번째 큰 값을 반환한다. MAX 인수들중에서 가장 큰 값(최대값)을 반환한다. MIN 인수 중에 Non-Missing 값들 중에 최소값을 계산한다. ORDINAL 숫자 리스트에서 지정한 순서의 값을 반환한다. PCTL 백분위수 계산한다. SMALLEST k번째 가장 작은 nonmissing값을 반환한다. 예 제 네번째와 첫 번째의 값을 찾아서 출력한다. SAS Statements da.. 2021. 10. 7.
【SAS 함수】 304. OPEN o OPEN SAS 데이터 세트를 OPEN하고, 데이터 세트 ID를 반환한다. Category: 외부 파일 접근 및 처리 함수 (External Files) 문 법 OPEN () Arguments data-set-name 는 SAS 데이터 세트 지정 mode 데이터세트의 접근(access)방식을 정한다. I 입력 모드로 랜덤 순서로 읽기만 하고 수정은 불가능(기본값) IN 입력 모드로 순차적 읽기를 수행하고 관측값의 재접근(revisit)을 허용 IS 입력 모드로 순차적 읽기를 수행하고 관측값의 재접근(revisit)을 허용하지 않는다. 관련 구문 및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ATTRC SAS 데이터 세트와 연관된 다양한 문자 속성 값을 반환한다. ATTRN SAS 데이터 세트와 연관된 다양한 수치형 속성값.. 2021. 10. 7.
【SAS 함수】 303. NVALID o NVALID SAS 변수 이름으로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한다. Category: 문자함수(문자열처리함수) 문 법 NVALID (string) Arguments string 는 문자상수, 변수 표현을 지정. validvarname v7 문자열이 SAS 변수이름으로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변수가 영문자 또는 underscore로 시작한다. - SAS 변수의 모든 문자가 영문자,underscore,숫자로 구성된다. - 길이(length)가 32보다 작다. ANY 문자열 길이가 공백을 포함하여 32보다 작으면 유효하다고 결정한다. NLITERAL 문자열이 SAS name literal('name'N) 또는 validvarname=v7일때 유효하다고 결정한다. 관련 함수 함수명 함수내용 CHAR Fun.. 2021. 10. 7.
반응형